-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2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제안 - 아희 2015 #8
Comments
아희에도 마찬가지 문제가 있는데, '반대편 끝'이 어디인지가 명확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 코드를 실행하면
|
그러네요. 반대편 끝의 정의에 따라 두 칸씩 이동하는 경우에 문제가 생기네요. 제 생각엔 반대편 끝은 반드시 다음 글자가 나오는 첫 자리(오른쪽 버)여야 직관적이고 다른 행의 크기에 영향도 받지 않게 될 것 같습니다. 줄끝문자 정의도 다시 할 필요가 있어 보이는데, \n만 정의해도 \r이 저절로 무시되지 않나 싶었는데 지금 같은 경우면 안그렇겠네요. |
"한 번에 두 칸씩 이동하는 홀소리를 만나면 먼저 두 칸을 이동한 뒤 코드 공간의 끝임을 확인하고 반대편 끝으로 이동합니다."가 정식으로 채택될 경우 Funge-98 wrapping algorithm에 대한 언급은 삭제되어야 합니다. (이 알고리즘의 기본 가정은, 어느 방향으로 얼마만큼 움직이든 다른 명령이나 방향 변경이 없을 경우 한 바퀴 돌고 와서 항상 처음 시작했던 장소로 돌아와야 한다는 것입니다.) |
@youknowone
위의 케이스에서는 무한히 줄끝문자는 /\r?\n/으로 하나처럼 묶어서 처리하는게 좋지 않을까요? |
이 정의에 따르면 "요" 에서 두 칸을 이동하면 코드 공간 끝을 만나고 반대편 끝이 "어"이므로 멈추게 되겠지요. 줄끝은 두 칸 이동을 고려하면 그렇게 처리하는게 맞을거 같습니다. |
댓글로 나온 내용 수정해 반영해 보았습니다. 제가 이해하는 아희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제안이니, 다른 분들 인식과 조금 다른 가정을 하고 정해진 부분도 있을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널리 받아들여질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하고 싶으니 많은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ㄱ 계열의 파일 입출력 확장 같은 것도 들어있었는데, 공감을 얻기 어렵겠다 싶어 일단 뺀 상태입니다) 코드 공간의 정의에 관해서는 이전에 비해 세세히 엄밀하게 따지게 되었는데, 아무래도 ㅘ, ㅝ의 추가 때문에 경계가 명확하지 않으면 이 두 모음의 동작은 정말로 예측할수가 없게 됩니다. ㅑ, ㅕ 동작과 충돌하지 않으면서도 확실한 정의를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호환성에 관해서는 이전 표준의 불분명한 부분으로 인해 초래된 부분을 완벽하게 극복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구현체들이 널리 받아들인 사실상의 표준(예: ㅎ 명령은 스택이 비어있어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음)과는 충돌하지 않도록 꼭 조절할 수 있으면 합니다. |
@youknowone |
고치긴 했는데 잘하는 짓인지 모르겠네요. utf-8도 강요하는 마당에 '\r'도 지원 안해도 그만일거 같기도 한데 말이에요. |
이 경우에 |
저는 빈 곳은 모두 ㅇ로 패딩이 되어있는 것 처럼 동작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이를테면
와 같은 코드가 있다면
와 같이 생각하는 것이죠 |
굳이 모든 홀소리가 쓰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닿소리의 기능은 하되 커서의 관성은 유지할 수 있는 홀소리를 남겨둬야 할 것 같습니다. |
빈 곳을 패딩하는 방식은 구현에는 편의가 있지만 사용자를 배려하지 않는 방식이라고 생각됩니다. 가장 긴 열을 가진 줄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가장 긴줄이 몇글자인지 확인해야 다른 줄에서 의도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할수 있습니다. 관련 없는 줄을 고쳤는데 동작이 바뀌는 경우가 생기겠죠. 아희 코드에서 코드 바깥에 주석을 다는 경우도 있는데 주석 길이에 따라 코드 동작이 달라지기도 할거구요. 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프로그래밍에 널리 쓰이는 편집기 설정 중에는 마지막에 빈 줄 문자를 채워넣는 설정을 가진 경우가 있습니다. 편집기 설정에 따라 나도 모르게 마지막 줄이 빈 줄로 패딩되거나 할 수 있어요. 홀소리는 사용중인 홀소리가 결합된 꼴로 이루어진 4개만 추가됐습니다. ㅐ, ㅔ 계열과 그 계열이 포함된 홀소리는 계속 비어있습니다. |
이 코드에서 |
현재 쓰여있는 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이동합니다. 좌로 1칸 이동 -> 코드 영역 밖이므로 코드 반대편인 '어'로 이동 -> 아래로 한칸 이동 -> 코드영역 밖이므로 코드 반대편(이자 제자리)인 '어'로 이동. |
아, 그렇네요. 저 경우에는 직관에 의지하면 |
이런 경우에 산으로 보내지 않고 적절하고 명확하면서도 직관적인 이동 기준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잘은 모르겠네요. 빈 칸을 모두 채우는 방식은 이동이 전혀 예측이 안되니 나쁜 방향이고, 그렇지 않은 방식 중에서 좋은 방식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
와 같은 코드에서 왼쪽과 오른쪽 와는 각각 어떻게 움직일지 궁금하네요 |
그 경우엔 명백하게 첫행의 니 르 로 가죠. |
제가 질문을 부정확하게 했네요. 홀소리 ㅘ에 의해 움직 인 다음 홀소리 ㅣ나 ㅡ를 만났을 때 이후에 대한 방향을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
"커서 관성은 오른쪽과 위쪽 이동이 모두 보존됩니다." 두칸씩 이동하다 만나면 두칸이 뒤집히듯 ㅣ, ㅡ에서는 각각 한쪽만 뒤집어주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불명확하게 보일수 있으니 명시하는쪽이 좋겠네요. |
수정하면서 ㅟ, ㅚ도 함께 수정했습니다. ㅘ로 우1상1로 이동하다 ㅟ를 만나면 좌1하1로 이동하게 될 것입니다. |
대각선 이동은 Funge-98처럼 '자기 자리로 되돌아오는 직선'의 끝으로 보내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lifthrasiir 님은 ㅑㅕㅛㅠ의 이동이 Funge-98과 다르다고 말씀하셨지만, 같은 직선을 타고 간다는 것만큼은 변하지 않으므로 일관성은 있어 보입니다. 수평/수직 이동을 따로따로 시키는 경우라면, 이동하는 도중에 명령을 실행시키지 않는다고 명시적으로 밝히는 편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순서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저는 ㅘ가 ㅗ+ㅏ니까 상1우1이라고 생각했는데, 우1상1으로 정하신 이유가 있나요? |
제자리로 되돌아오는 건 좋은 것 같습니다. 좌우이동을 먼저 정한 이유는 좌우이동은 반드시 가운데에 빈 공간 없이 글자가 있다는 것이 보장되기 때문에 비어있을 가능성이 있는 상하보다 낫다고 생각했는데, ㅘ, ㅝ의 경우 어차피 빈 공간에 도달해서 좌우 이동을 다음차례에 또 해야하므로 큰 이득이 없어 보입니다. |
홀소리 규칙을 수정했습니다. 한 가지 규칙으로 경계를 잘 설정할 수 있나 싶었는데 어려워서 사용자의 직관을 해치지 않는 최선의 방법이라 생각되는 방법으로 이동 방향별로 경계를 별도로 명시했습니다.
|
이 코드는 어떻게 동작하나요? |
@Sait2000 쓰여 있는 규칙대로면 "위"에서 아래로 하나, 왼쪽으로 둘로 이동해야하는데 이 규칙대로면 코드가 점점 가속되는 문제가 발견되어... 좌우이동은 한칸만 하도록 고정시켰습니다. (어차피 항상 아래 이동 1이 있으므로) |
모호한 표현 몇가지를 의미 변동 없이 손보고 다음 내용을 추가했습니다.
10주년 기념 새 판을 만들려면 관심을 갖고 쳐다봤어야 했는데 해를 넘겨서 2016년이 되어버렸네요. |
보충해도 좋고 안해도 좋다고 생각되는 내용이 하나 떠올랐습니다. 아희의 코드가 완전한 UTF-8 텍스트가 아닐 때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실행을 거부할 수도 있고 적당히 실행할수도 있을텐데, 아희 특성상 "오류가 있는 지점까지만 해석한다" 또는 "오류 이후에는 복구를 시도한다" 같은 동작은 코드가 보이는 것과 완전히 다르게 실행될 여지가 있을것 같네요. |
진행방향이 (위|아래)일 때 진행방향의 (끝|반대쪽 끝)이 그 열에서 가장 처음에 나타나는 줄이 되는 게 일관성 있지 않나요? 또 아래 코드에서처럼 진행방향이 왼쪽 위일 때와 오른쪽 아래일 때의 끝과 반대쪽 끝을 정의해야 합니다.
|
중간에 본문 수정을 하면서 |
위|아래 일때는 처음에는 그렇게 잡았었는데, 대각선 이동시 항상 첫행과 첫열을 기준으로 잡으면서 일관성 있게 잡느라 조정했던 기억이 납니다. 어떻게 잡는게 더 일관성 있게 보이는 동작이 될까요? |
모든 경우에 끝은 진행 방향 쪽 마지막 문자, 반대쪽 끝은 진행 방향 반대쪽 마지막 문자로 하면 진행 방향이 왼쪽, 오른쪽일 때는 지금과 같은 결과가 나오고 대각선 이동의 경우에는 실행결과가 같으니 괜찮지 않을까요? 그리고 첫 줄에 한글 낱자가 없을 때는 첫 줄을 무시하게 하는 건 어떨까요? 그렇게 하면 shebang 라인 등으로 인해 진행 방향이 위|아래일 때 끝이 바뀌는 경우를 피할 수 있으니까요. |
제안: 아희2015
아희의 표준을 보다 명확하게 정리하고 창제 원리에 맞게 기능 추가 및 미정의 부분 보완을 제안합니다. 아희의 원 표준은 http://aheui.github.io/specification.ko/ 를 참고해 주세요.
#제안-보완
으로 표시된 부분은 기존의 표준에서 정의되지 않았던 부분입니다.#제안-추가
는 기존의 표준과 달라지는 부분입니다. 아무 것도 표시되지 않은 부분은 기존의 표준과 동일한 내용을 재정의한 부분입니다.개요
인터프리터가 아희를 실행하는 방법은 befunge와 비슷합니다. 즉, 코드 공간 안에 커서가 있어서 커서가 위치한 곳에 적혀 있는 명령을 수행하고, 또 그 명령에 따라 커서가 움직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 코드가 ASCII가 아니라 한글이라는 점이 다릅니다.
한글은 홀소리와 닿소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홀소리는 커서가 이동할 방향을 지정하고, 닿소리는 인터프리터가 수행할 명령을 지정합니다. 받침이 있는 글자는 닿소리가 두 개가 되는데, 이 때 받침은 명령을 보조하는 인자로 작용합니다.
아희에서 쓰이는 저장 공간은 여러 개가 있습니다. 대부분이 스택이고, 큐가 하나 있습니다. 그리고 확장기능과 소통하는 통로가 있는데 2015표준에서는 정의하지 않습니다. 집어넣기(push)로 인수를 전달하고 뽑아내기(pop)로 결과를 받아옵니다.
코드
커서 - 홀소리
#!
을 추가로 넣더라도 문제없이 동작할 수 있습니다.각 홀소리의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명령어 - 닿소리
각 닿소리의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ㅇ 묶음 - 받침은 모두 무시합니다.
ㄷ 묶음 - 셈. 받침은 모두 무시합니다.
ㅁ 묶음 - 저장공간
ㅂ의 경우 ㅇ, ㅎ 외의 나머지 받침이 있으면 그 받침을 구성하는 직선의 수와 원의 수의 합에 따른 값을 집어넣습니다. 받침이 없으면 0을 집어넣습니다.
받침 중에는 1획인 것이 없는데, 1은 2/2나 3-2 같은 셈으로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예:
반밧나
,밪반타
등.ㅅ 묶음 - 제어, 저장공간 확장
저장공간
예제
다음은 “Hello, world!”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더 많은 코드는 github.com/aheui/snippets를 참고하세요.
The text was updated successfully, but these errors were encountered: